
2024년 11월 22일, 12월 21일, 두 차례에 걸친 일본 입국 거부, 그리고 오늘 3월 1일. 박경석 상임공동대표는 한국에서 공항탑승조차 거부당했다. 이에 장애인권운동을 테러로 규정하며 출국조차 못하게 가로막는 일본 정부의 탄압을 강렬히 규탄한다.
2025년 3월 1일 삼일절, 전장연은 장애인 당사자 23명과 함께 총 42명의 특사단을 꾸려 일제 강점기 도입된 우생학을 기반으로한 장애인 수용정책을 종식시키고, 한달간 890건의 폭행이 일어난 울산재활원과 19명의 장애인은 집단살해한 사가미하라 장애인 거주시설의 닮은 모습 속 장애시민의 국제 연대를 도모하기 위해 야스쿠니로 향한다.
그러나 일본정부는 박경석 대표의 입국자체를 불허한다라는 공문을 항공사를 통해 보내와, 아예 항공 탑승조차를 불허했다. 박경석 대표가 입국 거부, 소환조치된 이유는 15년 전인 2010년 국가인권위원회 현병철 위원장 퇴진과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 권리 퇴행,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 제도화를 외치며 국가인권위원회를 점거 투쟁하여 징역 1년 집행유예 2년 대법원 확정 판결을 받았다는 것이다.
이를 두고 일본의 출입국재류관리청은 오늘 “테러리스트 등 주의 인물의 입국을 확실하게 저지하기 위해 엄격한 입국심사를 철저하게 하고 있으며” 박경석 대표에 대해 특별 비자를 취득하지 않으면 상륙할 수 없음을 고지하였다.
AA특사단은 3월 2일인 내일 야스쿠니 신사 앞 식민주의·우생학 청산 장애인 권리 캠페인을 진행할 예정이다. 한국인을 열등한 존재로, 식민지배가 필요한 존재로 규정하며 탄압했던 가혹한 식민지 시설 국민으로서의 주권을 쟁취하기 위해 대한독립만세를 외쳤다. 장애인을 무능력한 존재로, 보호와 돌봄이 필요한 존재로 규정하며 상습폭행, 갈취, 강제노동, 성폭행, 물고문을 가하는 시설수용사회에서 장애인도 시민으로 이동할 수 있는 권리를 쟁취하기 위해 “장애인독립만세”를 외칠 것이다.
박경석 대표에 대한 부당한 출국/입국 거부와 현재진행형인 우생학에 기반한 장애인 수용정책에 대해 일본 정부와 한국 정부가 사과하고 종식될 때까지 전장연은 국제적 탄압 속에서도 끝까지 투쟁해나갈 것이다.
2025.03.01. 삼일절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2024년 11월 22일, 12월 21일, 두 차례에 걸친 일본 입국 거부, 그리고 오늘 3월 1일. 박경석 상임공동대표는 한국에서 공항탑승조차 거부당했다. 이에 장애인권운동을 테러로 규정하며 출국조차 못하게 가로막는 일본 정부의 탄압을 강렬히 규탄한다.
2025년 3월 1일 삼일절, 전장연은 장애인 당사자 23명과 함께 총 42명의 특사단을 꾸려 일제 강점기 도입된 우생학을 기반으로한 장애인 수용정책을 종식시키고, 한달간 890건의 폭행이 일어난 울산재활원과 19명의 장애인은 집단살해한 사가미하라 장애인 거주시설의 닮은 모습 속 장애시민의 국제 연대를 도모하기 위해 야스쿠니로 향한다.
그러나 일본정부는 박경석 대표의 입국자체를 불허한다라는 공문을 항공사를 통해 보내와, 아예 항공 탑승조차를 불허했다. 박경석 대표가 입국 거부, 소환조치된 이유는 15년 전인 2010년 국가인권위원회 현병철 위원장 퇴진과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 권리 퇴행,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 제도화를 외치며 국가인권위원회를 점거 투쟁하여 징역 1년 집행유예 2년 대법원 확정 판결을 받았다는 것이다.
이를 두고 일본의 출입국재류관리청은 오늘 “테러리스트 등 주의 인물의 입국을 확실하게 저지하기 위해 엄격한 입국심사를 철저하게 하고 있으며” 박경석 대표에 대해 특별 비자를 취득하지 않으면 상륙할 수 없음을 고지하였다.
AA특사단은 3월 2일인 내일 야스쿠니 신사 앞 식민주의·우생학 청산 장애인 권리 캠페인을 진행할 예정이다. 한국인을 열등한 존재로, 식민지배가 필요한 존재로 규정하며 탄압했던 가혹한 식민지 시설 국민으로서의 주권을 쟁취하기 위해 대한독립만세를 외쳤다. 장애인을 무능력한 존재로, 보호와 돌봄이 필요한 존재로 규정하며 상습폭행, 갈취, 강제노동, 성폭행, 물고문을 가하는 시설수용사회에서 장애인도 시민으로 이동할 수 있는 권리를 쟁취하기 위해 “장애인독립만세”를 외칠 것이다.
박경석 대표에 대한 부당한 출국/입국 거부와 현재진행형인 우생학에 기반한 장애인 수용정책에 대해 일본 정부와 한국 정부가 사과하고 종식될 때까지 전장연은 국제적 탄압 속에서도 끝까지 투쟁해나갈 것이다.
2025.03.01. 삼일절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