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서울시 장애인자립생활 정책 5년 평가 토론회_21.10.29.(금) 오후2시
[보도자료]
서울장애인차별철폐연대
(Seoul Solidarity Against Disability Discrimination)
주소 : 서울 종로구 동숭길25 유리빌딩 502호 / 전화 : 02)739-1420 / 전송: 02)6008-5101 전자우편 : slsadd420@gmail.com / 홈페이지 : www.sadd.or.kr
수 신
각 언론사(사회부 기자)
제 목
-이음장애인자립생활센터 탈시설운동 10주년 기념-
서울시 장애인자립생활정책 5년 평가 토론회
보도일자
2021. 10. 28. (목)
담 당
박미주 (010-2060-5786)
분 량
4쪽
<본 자료는 http://www.sadd.or.kr[자료실→보도자료]에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일 시 : 2021년 10월 29일(금) 오후 2시
□ 생중계: 이음센터 유튜브 채널 (https://youtu.be/Q3caW0Zg-_s)
□ 주 관 : 이음장애인자립생활센터
□ 공동주최 : 서울장애인차별철폐연대, 사)서울시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 장애와인권발바닥행동, 전국장애인부모연대 서울지부, 서울시의회 권수정의원실, 서울시의회 김정태의원실
□ 순 서
구분
내용
사전 행사
인사말 및 축사
발제
<좌장 소개> 문애린(이음장애인자립생활센터 소장)
<발제 1>
누구도 배제되지 않는 서울시를 위한 장애인자립생활 정책 현주소를 묻는다!(서울시 장애인자립생활지원정책 5년 평가 중심)
: 이형숙 (사)서울시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
<발제 2>
이음장애인자립생활센터 10년 - 우리는 어떤 지원을 해왔고, 해야하는가?
: 이규식(서울장애인차별철폐연대 상임공동대표/전 이음센터 소장)
토론
<토론1> 당사자발표
: 김진균(이음장애인자립생활센터 자립생활주택 이용자)
<토론 2> 서울시 탈시설 지원 정책 평가 및 이후 방향성 제시
: 정민구(장애와인권발바닥행동 활동가)
<토론 3> 해외 장애인 자립생활정책 사례 발표
: 정혜란(한국장애포럼 활동가)
<토론 4> 발달장애인도 서울에 살고있어요
: 김수정(전국장애인부모연대 서울지부 회장)
<토론 5> 서울시 장애인 자립생활 정책의 향후 방향성 제시
: 권수정(정의당 서울시의회 의원)
<토론6> 서울시 장애인자립지원과/장애인복지정책과의 향후 정책 계획
: 서울시 장애인자립지원과 / 장애인복지정책과
종합토론
질의 및 종합토론
폐회
폐회 및 정리
※ 자료집 링크
https://drive.google.com/file/d/1y1Hlu76XvLhkdSgh9nLpHKBTTbbnwWbw/view?usp=sharing
1. 공정 보도를 위해 노력하시는 귀 언론사의 건승을 기원합니다.
2. 서울장애인차별철폐연대(이하 서울장차연)은 비장애인중심의 지역사회 환경을 변화시키 위해 장애인에 대한 차별철폐와 장애인권리협약에 명시된 기본적 권리를 쟁취하기 위해 활동하는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의 서울지역 조직입니다.
3. 이음장애인자립생활센터(이하 이음센터)는 탈시설 운동의 구심체 역할 수행을 목표로 탈시설 당사자의 지원과 조직화, 시설 거주인의 탈시설 지원 및 권익옹호 활동 등을 역동적으로 실천하고 있는 서울장애인차별철폐연대의 회원 단체입니다.
4. 서울시는 2018년 10월 25일, ‘장애인의 홀로서기가 가능한 포용복지 도시 서울’을 장애인 자립생활 정책 비전으로 제시하고, 장애인의 일상생활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Solidarity Against Disability Discrimination
상임공동대표 : 권달주 ・ 윤종술 ・ 오영철 ・ 이형숙 ・ 박경석
E-Mail : sadd@daum.net | T : 02-739-1420 | F : 02-6008-5101
로그인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이메일무단수집거부
Copyright ⓒ 2001-2007-2025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All rights reserved.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03028) 서울 종로구 동숭길 25, 5층sadd@daum.net | 02-739-1420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이메일무단수집거부
Copyright ⓒ 2007-2025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All rights reserved.
로그인
[보도자료]
서울장애인차별철폐연대
(Seoul Solidarity Against Disability Discrimination)
주소 : 서울 종로구 동숭길25 유리빌딩 502호 / 전화 : 02)739-1420 / 전송: 02)6008-5101 전자우편 : slsadd420@gmail.com / 홈페이지 : www.sadd.or.kr
수 신
각 언론사(사회부 기자)
제 목
-이음장애인자립생활센터 탈시설운동 10주년 기념-
서울시 장애인자립생활정책 5년 평가 토론회
보도일자
2021. 10. 28. (목)
담 당
박미주 (010-2060-5786)
분 량
4쪽
<본 자료는 http://www.sadd.or.kr[자료실→보도자료]에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음장애인자립생활센터 탈시설운동 10주년 기념-
서울시 장애인자립생활정책 5년 평가 토론회
□ 일 시 : 2021년 10월 29일(금) 오후 2시
□ 생중계: 이음센터 유튜브 채널 (https://youtu.be/Q3caW0Zg-_s)
□ 주 관 : 이음장애인자립생활센터
□ 공동주최 : 서울장애인차별철폐연대, 사)서울시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 장애와인권발바닥행동, 전국장애인부모연대 서울지부, 서울시의회 권수정의원실, 서울시의회 김정태의원실
□ 순 서
구분
내용
사전 행사
인사말 및 축사
발제
<좌장 소개> 문애린(이음장애인자립생활센터 소장)
<발제 1>
누구도 배제되지 않는 서울시를 위한 장애인자립생활 정책 현주소를 묻는다!(서울시 장애인자립생활지원정책 5년 평가 중심)
: 이형숙 (사)서울시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
<발제 2>
이음장애인자립생활센터 10년 - 우리는 어떤 지원을 해왔고, 해야하는가?
: 이규식(서울장애인차별철폐연대 상임공동대표/전 이음센터 소장)
토론
<토론1> 당사자발표
: 김진균(이음장애인자립생활센터 자립생활주택 이용자)
<토론 2> 서울시 탈시설 지원 정책 평가 및 이후 방향성 제시
: 정민구(장애와인권발바닥행동 활동가)
<토론 3> 해외 장애인 자립생활정책 사례 발표
: 정혜란(한국장애포럼 활동가)
<토론 4> 발달장애인도 서울에 살고있어요
: 김수정(전국장애인부모연대 서울지부 회장)
<토론 5> 서울시 장애인 자립생활 정책의 향후 방향성 제시
: 권수정(정의당 서울시의회 의원)
<토론6> 서울시 장애인자립지원과/장애인복지정책과의 향후 정책 계획
: 서울시 장애인자립지원과 / 장애인복지정책과
종합토론
질의 및 종합토론
폐회
폐회 및 정리
※ 자료집 링크
https://drive.google.com/file/d/1y1Hlu76XvLhkdSgh9nLpHKBTTbbnwWbw/view?usp=sharing
1. 공정 보도를 위해 노력하시는 귀 언론사의 건승을 기원합니다.
2. 서울장애인차별철폐연대(이하 서울장차연)은 비장애인중심의 지역사회 환경을 변화시키 위해 장애인에 대한 차별철폐와 장애인권리협약에 명시된 기본적 권리를 쟁취하기 위해 활동하는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의 서울지역 조직입니다.
3. 이음장애인자립생활센터(이하 이음센터)는 탈시설 운동의 구심체 역할 수행을 목표로 탈시설 당사자의 지원과 조직화, 시설 거주인의 탈시설 지원 및 권익옹호 활동 등을 역동적으로 실천하고 있는 서울장애인차별철폐연대의 회원 단체입니다.
4. 서울시는 2018년 10월 25일, ‘장애인의 홀로서기가 가능한 포용복지 도시 서울’을 장애인 자립생활 정책 비전으로 제시하고, 장애인의 일상생활